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배낭, 어떻게 싸야 할까? 초보자를 위한 등산 배낭 꾸리기 상식

이미지
배낭, 어떻게 싸야 할까?  초보자를 위한 등산 가방 꾸리기 A to Z, Pack your hiking bag. 하늘은 높고 공기는 맑은 가을 등산 계절이 다가 옵니다. 배낭, 어떻게 싸야 할까? 초보자를 위한 등산 가방 꾸리기 A to Z라는 제목으로 몇가지 챙겨 봅니다.   등산을 시작하면서 내일 등산 분비를 한다면 제일 먼저 부딪히는 상황이 바로 배낭 꾸리기입니다. “무엇을 넣어야 할까? 어디에 넣어야 할까?” 막상 산에 가보면 꼭 필요한 걸 안 챙기거나, 필요 없는 걸 한가득 넣어 어깨만 아픈 경험을 하곤 합니다. 초보자도 실패하지 않는 등산 가방 꾸리기 방법을 A부터 Z까지 정리해 봅니다. 배낭, 어떻게 싸야 할까? 초보자를 위한 등산 배낭 꾸리기 상식 1. 배낭 선택부터 시작하자 배낭을 싸기 전에, 나에게 맞는 배낭부터 골라야 합니다. 1~3시간 가벼운 산행 → 15~25L 소형 배낭 당일치기 종주 코스 → 25~35L 중형 배낭 1박 이상 백패킹 → 40L 이상 대형 배낭 어깨끈과 허리벨트가 잘 맞는지 꼭 착용해 보고 구입하세요. 허리벨트가 체중을 분산시켜 줘야 장시간 메도 덜 힘듭니다 . 2. 꼭 챙겨야 할 기본 아이템 등산은 날씨와 변수가 많기 때문에 ‘혹시 몰라서’ 챙기는 게 많습니다. 하지만 기본만 잘 챙겨도 산행 절반은 성공입니다. 물 : 500ml~1L (코스 길이에 따라, 혹은 물을 많이 마시는 체질 등 고려..) 간단한 간식 : 에너지바, 초콜릿, 견과류 방풍/방수 재킷 : 바람막이 필수 모자 & 장갑 : 햇볕 차단, 체온 유지 구급상자 : 밴드, 소독약, 개인 상비약 휴대폰 & 보조배터리 계절에 따라서 봄,여름 가을까지는 해충 기피제, 겨울에는 아이젠. 휴지/비닐봉지 : 쓰레기는 반드시 되가져오기 루래쉬:만약을 생각해서   3. 배낭 싸는 순서와 배치 배낭을 아무렇게나 채우면 무게중심이 흔들려 금방 지칠 뿐더러 필요 할 때 금방 찾기도 불편합니다. 무게 중심을 고려해 아래→중간→위 순서로...

대한민국 100대 명산 ,산림청

이미지
대한민국 산림청 100대 명산 , 번호 / 산이름 / 높이 / 행정구역 아래 내용은 “100대 명산 목록” 위키백과 + 산림청 소재지 정보. 소재지는 산이 걸쳐 있는 도(광역시/특별자치도 포함)만 간단히 표기. 가.나.다 순 번호 산 이름 높이 (m) 행정구역 (시·도) 1 가리산 1050.9 강원도  2 가리왕산 1561.9 강원도  3 가야산 1432.6 경상남도·경상북도  4 가지산 1240.9 울산광역시·경상북도·경상남도  5 감악산 674.9 경기도  6 강천산 583.7 전라북도·전라남도  7 계룡산 846.5 대전광역시·충청남도  8 계방산 1579.1 강원도  9 공작산 887.4 강원도  10 관악산 632.2 서울특별시·경기도  11 구병산 876.3 경상북도·충청북도  12 금산 704.9 경상남도  13 금수산 1015.8 충청북도·단양군 등  14 금오산 976.5 경상북도  15 금정산 800.8 부산광역시·경상남도  16 깃대봉 360.7 전라남도  17 남산 495.1 경상북도  18 내연산 711.3 경상북도  19 내장산 763.5 전라북도  20 대둔산 878.9 충청남도·전라북도  21 대암산 1312.6 강원도  22 대야산 931.0 경상북도·충청북도  23 덕숭산 495.2 충청남도  24 덕유산 1614.2 전라북도·경상남도  25 덕항산 1072.9 강원도  26 도락산 965.3 충청북도  27 도봉산 740.2 서울특별시·경기도  28 두륜산 700.0 전라남도  29 두타산 1357.0 강원도  30 마니산 472.1 인천광역시  31 마이산 687.4 전라북도  32 명성산 922.0 강원도  33 명지산 1252.3 경기도...

높은 산 순위 톱 10과 산 정보

이미지
Top 10 Highest Mountains in Korea and Mountain Information 남한의 산 중에서 높은 산 순위 톱 10 목록과 내부 링크로 톱10 산 이름 +산 정보 +위치+최단 코스 거리+ 시작 점+주차장,중요 문화재,특징,최단 코스 등산 난이도 상상중하,중상중하,하상중하의 형태로 정리합니다. 산행에서 최단 코스를 추천하지는 않지만,많은 산인들이 바쁜 일상에서 당일 계획으로 일정을 잡을 수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입니다. 최단 코스로 그 산을 등정해서 얻는 것이 제한적일 지라도 그 산을 등산하지 못해서 아쉬운 미련이 남는 것 보다는 등정 한 것이 났기 때문에 최단 코스의 의미는 크다고 봅니다. 본인의 경우 부산에 살기 때문에 강원도 산은 정말 어려운 여행이 되곤 했습니다.      높은 산 순위 톱 10과 산 정보 남한의 가장 높은 산 TOP 10 한반도의 남쪽,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10곳을 소개합니다. 각 산의 정보와 함께 최단 등산 코스, 문화재, 특징 등을 자세히 안내하여 산행 계획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남한에서 높은 산 순위 TOP 10 한라산 (Hallasan)     1,947m 지리산 (Jirisan)   1,915m 설악산 (Seoraksan)   1,708m로 덕유산 (Deogyusan)     1,614m 계방산 (Gyebangsan)   1,577m 함백산 (Hambaeksan)   1,573m 태백산 (Taebaeksan)   1,567m 오대산 (Odaesan)   1,563m 가리왕산 (Gariwangsan)     1,561m 남덕유산 (Namdeogyusan)   1,507m 1. 한라산 (Hallasan) 산 정보: 높이 1,947m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제주도의 상징입니다.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순상화산으로, 정상에는 백록담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