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금정산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금정산을 등산하면서 북문 쉼터에서 잠시 휴식하면서 보게 되는 특별한 정상석이 있습니다.
정상석은 그 산의 정상을 가르키는 표지석인데 이곳 쉼터에서 유리 상자로 보호하며 박물관의 귀중한 유물처럼 잘 보관 해 놓은 것을 보며 정상석이 함부로 다루어 지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표지석 앞에 있는 설명서를 보면 고당봉 낙뢰 표석비라고 쓰여있습니다.
![]() |
한자로 쓰인 고당봉 정상석 |
낙뢰 피해 발생 및 파손 내용
이 표석비는 1991년 12월 23일 금정산 정상에 건립하여 사랑을 받아 왔으나 2016년 8월 1일 천둥 번개를 동반한 집중 호우시 낙뢰로 파손되어 이곳에 옮겨 보존합니다.
* 2016년10월26일 고당봉 표석비 건립 범시민 추진위원회 *
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 보관된 표석비는 돌로 만들어진 오래된 것인데 낙뢰로 인해 정상석 뒷부분이 일부
떨어져 나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부산대 황진연 교수(지질환경과학과)는 이 정상석이 낙뢰에 취약했던 것은 돌 내부의 균열과 풍화작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돌의 절리(암석 갈라진 틈)가 많아졌고, 내부적으로 수분이 침투해 전도성이 생긴 상태에서 낙뢰가 타격하면서 파괴가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입니다.
즉 균열이 간 정상석에 물이 침투해서 뾰족한 토체 역활을 해서 벼락이 전도체를 탁격 한 것이고, 단단한 돌이라면 견뎠을 지도 모르지만 약해진 정상석이 벼락 ㅌ충격으로 일부 손상 된 것으로 본다는 말입니다.
파손된 이후 처리
당시 파손된 원래의 정상석은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있었으며, 이후 여러 의견을 종합해서 유리 상자에 전시하는 방안으로 결정되어 현재의 이 장소에 전시 보관된 것입니다.
전시 위치
파손된 표지석은 금정산성 북문 세심정 옆 솔밭 쉼터 작은 바위 위에 유리 상자로 봏하여 전시 보관 되고있는 것입니다.당시 이 표지석을 제작하기 위해서 시민 모금 운동이 전개되기도 했고, 금정구 주관으로 지역 언론 등이 참여해서 새로운 정상석 제작비를 모으는 움직임이 보도된 바 있습니다.
제작 시기와 방식
보도에 따르면, 새 표지석은 기존 것보다 규모가 조금 더 커지거나, 시민의 뜻을 반영하는 요소를 담는 방안이 검토된 바 구 표지석이 姑堂峰이라는 한자로 된것을 한글로 고당봉으로 새기기로 합의 되었습니다.
그 이후의 훼손 사건
새로 세워진 정상석 또한 완전히 평온했던 것은 아니고, 2025년 7월에는 누군가 ‘고당’ 글자를 가리고 에 ‘금정’이라는 종이를 본드로 붙여 훼손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또 고당봉 표지석 뒤편에 거을 붙여 놓은 일 도 있었습니다.
산을 좋아해서 많은 산을 다녔지만 본인이 아는 한 벼락맞은 정상석은 보지 못했습니다.
벼락이 높은곳에 주로 낙뢰 하는데 정상석은 높은산 가장 높은 위치에 고정된 시설물인데도 불구하고 정상석이 벼락에 파손된 사건은 부산의 진산 금정산 고당봉이 유일 하다고 생각 됩니다.
아래에 오래된 한자로 스인 고당봉 정상석(표지석)과 한글로 쓰인 새 정상석 사진을 올립니다.
한자로 쓰인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
![]() |
한글로 쓰인 새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
![]() |
유리 상자에 보관 된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
![]() |
유리 상자에 보관 된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측면 |
![]() |
유리 상자에 보관 된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후면 |
![]() |
유리 상자에 보관 된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측면 |
![]() |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설명판 |
한자로 쓰인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
![]() |
한자로 쓰인 구 고당봉 정상석(표지석) 위치 |
#고당봉정상석 #구고당봉정상석 #한자고당봉정상석 #한글고당봉정상석 #구고당봉정삭석위치 #벼락맞은고당봉정상석
댓글
댓글 쓰기